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세종시 전세주택 보증금 이자 지원, 광주시 임차보증금 이자 지원

by 알돌이 2023. 3. 17.

세종시는 높은 주거비로 경제적 부담을 겪는 청년들을 돕기 위해 '청년주택 전세보증금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만 19~39세 청년가구를 대상으로 최대 7000만 원의 전세자금대출과 시에서 융자이자의 4.1%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한편, 광주광역시는 시에서 지원하는 대출금리 2%에 연리 2.5%로 최대 1억 원을 지원하는 '2023 청년맞춤형 임대보증금이자 지원사업'을 추진합니다.

세종시, 청년 전세주택보증금 대출이자 최대 4.1% 지원

세종시(시장 최민호)가 높은 주거비로 경제적인 부담을 겪고 있는 청년들을 돕기 위해 ‘청년 주택 임차보증금 이자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청년 주택 임차보증금 이자지원사업은 만 19~39세 이하 무주택 청년가구에게 최대 7000만 원까지 보증금을 빌려주고, 시에서 대출이자 중 4.1%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2년 만기 일시상환 조건으로 최장 6년(2회 연장 가능)까지 혜택을 볼 수 있으며, 청년은 대출이자 중 4.1%를 뺀 나머지 이자를 부담하면 된다. 지원대상은 공고일 기준 세종시에 주민등록을 두거나, 시로 전입 예정인 청년 가구이며, 올해는 청년 주거지원의 문턱을 낮추고자 지원자격을 대폭 완화했다. 연령대를 기존 만 19∼34세 이하에서 만 19∼39세 이하로 범위를 넓히고, 신혼부부 소득기준도 6000만 원 이하에서 7000만 원 이하로 확대했으며, 직업제한도 폐지했다. 신청은 오는 27일부터 31일까지이며 세종청년희망내일센터 누리집을 통한 온라인 신청과 청년희망내일센터로 방문 신청도 가능하다. 모집인원은 총 88명이며 대상자로 선정되면 반드시 90일 이내 주택 임대차계약과 대출을 실행해야 하며, 대상주택은 세종시 내 보증금 2억 원 이하의 전세 또는 반전세 주택이다. 안효철 청년정책담당관은 “높은 금리로 전세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주거비 부담으로 위축되어 있는 청년들을 위해 앞으로도 다양한 주거지원정책을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시 누리집 공고문을 통해 확인하거나 세종청년희망내일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광주광역시 ‘2023년 청년맞춤형 임차보증금 이자지원사업’을 추진

 

이 사업은 2020년부터 청년의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고 안정적인 주거환경 조성을 위해 광주시가 대출이자를 연 최대 200만 원까지 최장 4년간 지원하는 제도다. 한국주택금융공사가 보증하고 광주은행이 연 2.5% 금리로 최대 1억 원까지 주택임차보증금 대출을 실행한다. 지원 대상은 신규 85명을 포함한 총 450여 명이다. 신규 대상자는 20일부터 29일까지 ‘광주청년정책플랫폼’ 홈페이지에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된다. 서류는 ‘광주청년정책플랫폼–주거–주거비지원-청년맞춤형 주택임차보증금 이자지원’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 광주청년정책플랫폼 바로가기 : https://www.gwangju.go.kr/youth/ 사업 참여는 공고일 기준 광주시에 거주하는 만 19세부터 39세 이하 무주택 청년으로 대학(원) 생·취업준비생 등이다. 직장인(사업자)은 본인 연소득 4500만 원 이하, 부부합산 연소득 6000만 원 이하, 무소득자는 부모 연소득 7000만 원 이하여야 가능하다. 주택소유자, 주거급여, 한국토지주택공사(LH) 임대주택,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중소기업 취업청년전월세보증금 대출 등 정부(공공) 주거지원사업 참여자 및 기존 청년 맞춤형 임차보증금 이자지원사업을 지원받은 사람은 이번 사업에 참여할 수 없다. 대출한도는 전월세보증금의 90% 이내로 최대 1억 원이며, 대출이율 2.5% 중 광주시가 2%를 지원하고 0.5%는 자부담한다. 대출기한은 2년이며 1회에 한해 최대 2년을 더 연장할 수 있다. 단, 연장 신청은 개인별로 해야 한다. 임차보증금 지원주택은 전월세보증금 2억 원 이하, 전세 월세 형태의 주택과 주거용 오피스텔이며 다중주택은 제외된다. 광주시는 도움이 필요한 청년들의 자립을 위해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평가 후 높은 점수 순으로 선정할 계획이다. 선정결과는 4월 14일 광주청년정책플랫폼에 게시하고,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로 안내할 예정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