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문화 슬세권' 1만여 곳 추진. 지방소멸 위기에 동네미술관으로 대처.

by 알돌이 2023. 3. 24.

문체부, 지역문화정책 담은 추진전략 발표. 국립민속박물관 ‘세종 이전’ 본격 추진. 인구감소지역 가점우대, 문화환경 개선. 
지역콘텐츠·전문인력 양성 일자리 창출. 박보균 "지방시대 문화로 펼쳐진다" 강조 유휴시설을 문화시설로 개조하고 국립문화시설 6개를 비수도권에 설립·이전합니다. 지역문화정책 전략을 마련하며 관광주민증으로 여행객의 재방문을 유도합니다.

 

문화시설 규제를 완화

 

클래식 전용 대공연장인 부산국제아트센터를 건립하고 이스포츠 상설 경기장을 충남 아산에 새로 만든다. 대전에는 특수영상 클러스터를 조성하며 전주에는 서예 비엔날레 전용관과 한국문화원형콘텐츠 체험전시관을 설치한다. 박물관이나 미술관은 1명 이상의 학예사를 고용해야 하지만 인구감소지역은 2개 이상의 박물관·미술관이 학예사를 공동으로 두는 것도 인정하는 등 문화시설 규제를 완화한다. 수도권에 가지 않아도 고품격 문화예술 공연과 전시 즐길 수 있도록 국립예술단체와 박물관의 지역 순회공연·전시를 늘린다. 올해 국립오페라단·발레단·합창단 등은 작년보다 20개 지역 늘어난 101개 지역에서 순회공연을 한다. '이건희 컬렉션 지역순회전'처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을 전국 각지에서 볼 수 있는 기회도 확대한다.

 

일상 속 문화 시설을 확충

 

 비수도권 거주민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일상 속 문화 시설을 확충한다. 주거지에서 15분 정도면 갈 수 있는 지역에 서점, 갤러리, 카페, 미술관, 도서관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이른바 문화 '슬세권'(슬리퍼+역세권, 슬리퍼를 신고 갈 수 있는 가까운 권역)을 전국 각지에 조성한다. 이 가운데 일부는 옛 보건소 건물과 같은 유휴 공공시설이나 빈집, 버스정류장 등을 개조해서 마련한다. 문체부는 작년에 전국 18개 문화도시에 3천407곳의 동네 문화 공간이 생긴 것으로 집계했으며 2027년까지 문화 슬세권 약 1만 개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지역 청년들이 고향에서 문화·예술 교육을 받고 관련 일자리를 구할 수 있도록 생애주기별 맞춤 교육과 일자리 창출·매칭을 추진한다. 초등학생들이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배우고 자긍심을 키우도록 각 지역 수업용 교육자료 제작을 시범적으로 지원하며 향후에는 정식 인정 절차를 거친 '지역교과서'를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여행객 유입도 유도

 

 동일한 지역을 반복 방문하도록 특산품이나 여행 상품을 할인받을 수 있는 '관광주민증' 제도를 11개 지역에 도입한다. 작년 10월 강원 평창군과 충북 옥천군에 시범 도입했더니 5개월 사이에 관광주민증을 발급받은 이들이 두 지역 거주자의 절반 수준인 4만 7천여 명에 달할 정도로 호응이 있었다. 한국을 대표하는 유·무형 문화자원인 '지역문화매력 100선'을 지정해 국내외에 홍보하고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휴가지에서의 원격근무인 워케이션을 지원해 체류형 관광 산업을 촉진한다. 전병극 문화체육관광부 1 차관은 "문화는 주민의 정주 만족도를 높이고 지역의 활력을 불어넣는 핵심 요소"라며 "어느 지역이나 개인도 소외되지 않고 자유롭게 문화를 누릴 수 있는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라고 강조했다.

댓글